다이어트 책추천] 칼로리 앤 코르셋, 살 빠지는 골든 타임 저녁 다이어트

Posted by 😀😃😄🏒🇬🇩🇩🇪v
2018. 3. 13. 07:00 기타 등등



다이어트 책추천] 칼로리 앤 코르셋, 살 빠지는 골든 타임 저녁 다이어트


칼로리 앤 코르셋 - 루이스 폭스크로프트




1953년, 내가 태어나기 3년 전, 시몬드 보부아르는 여성으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여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는 완벽한 다이어트와 완벽한 몸매를 추구하는 문화속에서 살고 있다. 그래서 주변을 둘러보면 불행하고 자신감 없는 사람들을 많이 볼수 있다.

최근 한 연구에 의하면, 연구에 참여한 5천면 중 결혼했거나 사귀는 사람이 있는 여성 중 60퍼센트가 파트너에게 자신이 음식을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불평하다고 응답했다.  

여성 중 40퍼센트 이상이 항상 다이어트를 하고 있으며 언제나 체중에 신경을 쓴다고 말했으며, 그 중 25퍼센트의 여성이 30분마다 한 번씩 음식에 대한 생각을 한다고 했다.

반면, 섹스에 대해서 30분마다 한 번씩 생각하는 여성은 10퍼센트에 불과했다.  

 

탐식하지 않는 것이 금욕의 길이다.   -제프리 초서 - 

 

다이어트 diet의 어원은 그리스어 디아이타 diaita에서 유래됐다. 디아이타는 체중감량을 위한 식이요법이라는 좁은 의미가 아니라 일련의 생활방식이라는 넓은 의미를 지닌다. 

비만은 질병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이 유혹을 이기지 못한 한탄스러운 결과일 뿐이다. 그리고 그것에 대한 결과는 인간 자신만이 책임이 있다.



살 빠지는 골든 타임 저녁 다이어트 - 심경원 

♣ 다이어트를 할 때 일시적인 방법은 효과를 볼 수 없다. 얼마나 짧은 시간에 효과를 볼 수 있느냐보다 얼마나 오래 그 방법을 지속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 '적게 먹는 것과 많이 움직이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 하고 묻는다면 대답은 '둘 다 중요하다'이다. 그러나 굳이 비교한다면 빼는 데는 적게 먹는 것, 유지하는 데는 많이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

 




똑같은 음식을 아침과 저녁에 섭취한다면 오전에 섭취한 음식의 칼로리는 우리가 활동하는 동안 에너지로 쓰이게 된다.  

하지만 저녁에 섭취한 칼로리는 대부분 소비되지 않고 우리 몸에 쌓이게 된다.  

이때 식후 분비된 인슐린이 지방을 축적시킬 뿐 아니라 잠자는 동안 분비되는 성장호르몬이 남은 칼로리를 지방으로 저장하는 작용을 강화시켜 비만을 초래한다. 

특히 복부 비만의 주요원인이 된다.  

 

무엇보다 가공, 정제되지 않는 자연식품 즉, 식이섬유가 풍부한 거친 위주의 식사가 바로 건강한 저녁 식사의 핵심이다. 

섬유소는 씹고 삼키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며 위장에 오래 머물러 포만감을 줌으로써 과식을 막아준다. 또한 지방 배설을 돕고 과도한 탄수화물의 흡수를 줄여 인슐린 분비를 감소 시킴으로써 지방 분해 작용에 도와주어 비만 예방에 좋다. 또한 단백질 보충을 위해 콩, 두부, 생선이나 기타 해산물, 계란 중에서 골라 100~150g 정도 섭취한다.

 

오후 7시 이후 운동을 하면 부신 피질 호르몬과 갑상선 자극 호르몬 분비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들 호르몬은 신진대사를 증가시키며 신체의 각성도를 높여 운동 효율을 증대시킨다. 

 

다이어트에서 왜 이토록 저염식이 중요한 것일까? 

그 이유는 짭짤한 음식을 먹게되면 침샘이 자극받아 소화 효소가 분비된다. 그렇게 되면 자연스럽게 식욕이 생기고, 무의식 중에 식사량이 늘어 과식이나 폭식을 하게된다. 짠 음식을 먹게 되면 식욕을 자극하는 것도 문제지만 짜다는 생각에 자연스럽게 밥의 섭취량이 느는 것이 더 큰 문제다. 코칼로리의 음식을 섭취하는 것보다 짠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위험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다이어트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을 얼마나 먹느냐가 아니다. 무엇을 어떻게 먹느냐가 더 중요한 것이다. 아무리 적은 양을 먹었다 하더라고 불규칙적으로 무심코 섭취하는 칼로리가 많다면 분명 잘못된 식습관을 갖은 것이다.

                       


                                                               


                                                                                              


반응형